.gitignore이란?
Project에 원하지 않는 Backup File이나 Log File , 혹은 컴파일 된 파일들을 Git에서 제외시킬수 있는 설정 File이다.
여기서 제외할 필요가 있는 파일들
- 보안상으로 위험성이 있는 파일
- 프로젝트와 관계없는 파일
- 용량이 너무 커서 제외해야되는 파일
이 외에도 제외시켜야 할 파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gitignore 이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무시할 파일을 넣어 줄 수 있다.
1. 깃허브를 통한 ignore 파일 생성하기
깃허브에서 Repository 생성 시 ignore 파일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java를 사용한다면 java 검색 후 선택하여 생성하면 된다.

ignore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들어가보니 제외할 목록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로컬 저장소에도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2. 폴더에 직접 ignore 파일 생성하기
1) git init 된 폴더에 .gitignore 이름으로 txt파일을 생성한다.

2) 제외할 파일 또는 폴더를 작성한다.

3) 확장자를 지운다.

3. SourceTree 에서 무시목록 지정하기

소스트리에서 해당 레포지토리에 연결시켜 상단의 메뉴 중 설정 클릭한다.
저장소 설정에서 고급 > 저장소별 무시 목록에서 편집 클릭한다.

편집을 클릭하면 메모장이 출력되는데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은 빈 메모장이 출력된다.
이 부분에 제외시킬 파일을 지정해주면 된다.

이후 로컬저장소에 가면 .gitignore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외 목록 지정 방법
1) 특정 파일 제외하기
fileName.확장자명
2) 특정 경로의 특정 파일 제외하기
root/fileName.확장자명
3) 특정 경로 하위 모든 파일 제외하기
root/~하위파일들
4) 특정 확장자 파일 제외하기
*.class
이외의 여러 지정방법들이 더 있다.
'IT Study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VSCode로 커밋하기 & URL 배포 (0) | 2023.01.05 |
---|---|
Git - 이클립스에서 Git Push and Commit 하기 (0) | 2022.12.30 |
Git - SourceTree 원격 부분 오류 표시 (0) | 2022.12.30 |
Git - SourceTree를 사용하여 커밋/푸쉬하기 (0) | 2022.12.30 |
Git - 깃허브에 Repository 생성하기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