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ver/CentOs

[CentOS] CentOS 7 설치하기

by hhyyyjun 2023. 3. 9.

리눅스 경험을 위해 CentOS 7 를 채택했다.

 

1. 먼저 iso 파일을 설치한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centos.org/download/

 

Download

Home Download Architectures Packages Others x86_64 RPMs Cloud | Containers | Vagrant ARM64 (aarch64) RPMs Cloud | Containers | Vagrant IBM Power BE (ppc64) RPMs Cloud | Containers | Vagrant IBM Power (ppc64le) RPMs Cloud | Containers | Vagrant ARM32 (armhf

centos.org

 

본인의 cpu에 맞게 선택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사이트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본인은 네이버의 Minimal 버전을 택했다.

참고로 DVD버전은 GUI를 제공해주며, Minimal 버전은 터미널로만(까~만화면) 제어한다.

 


2. 설치가 완료되면 가상화 소프트웨어인 VirtualBox에 설정한다.

 

VirtyalBox의 새로만들기 클릭

 

 

 

이름에 centos를 입력하면 하위에 버전에 Red Hat(64-bit)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ISO image를 선택 후 넘어가면

 

이러한 화면이 나오는데, 이 옵션은 guest 추가를 자동 설치하는것으로 virtualbox 7.0 버전 이상에서는 OS불문 가상머신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버그가 있다고 한다.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다음을 클릭하면 메모리 크기와 프로세서를 설정하는 부분이 나온다. 컴퓨터 사양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가상 하드 디스크를 추가할지, 기존의 디스크 파일을 사용할지,  가상 하드 디스크를 추가하지 않을지 선택하는 화면이다. 기본 값 유지하여 다음 클릭

 

 

최종적으로 본인이 선택한 옵션을 볼 수 있다. Finish 클릭

 

 

Finish를 누르면 왼쪽에 새로 만들어진다. 추가 설정을 위해 설정 버튼을 클릭

 

맨 처음 다운로드 받았던 iso 파일을 추가해야 한다.

저장소의 디스크 아이콘을 클릭하여 등록해준다.

 

 

시스템 탭에서 사용하지 않는 플로피 해제

 

 

네트워크 탭에서 '어댑터에 브리지'를 선택한다.

확인 버튼 클릭

 

 


3. CentOS를 설치한다.

 

설정이 완료된 후 왼쪽의 CentOS 를 더블클릭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설치 과정을 거친 후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당연히 한국어를 찾아서 선택

 

 

이 화면에서 설치대상과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부분에 설정이 필요하다.

 

 

설치대상을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기본값인 '파티션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로 완료한다.

본인이 상세하게 설정이 필요할 경우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클릭

 

 

다음은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 을 클릭한다. 이미지의 오른쪽과 같이 '끔' 상태로 되어있는데, 버튼을 클릭하여 '켬' 상태로 만들고 완료한다.

하단에 본인이 호스트명도 설정할 수 있다.

 

 

각 설정이 완료되면 이미지와 같이 나타난다.

이후 설치 시작 버튼 클릭

 

 

이러한 화면을 지나면 설치를 한다.

 

설치가 완료된 후 암호와 사용자를 생성한다.

 

 

암호를 입력한 후 짧다고 나오는데 그냥 확인 버튼 클릭하면 된다.

 

 

사용자를 추가할 때 또한 동일하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재부팅 버튼을 클릭한다.

 

 

쭉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위에서 추가한 사용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완료된다.

'Server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net-tools (네트워크 툴) 설치하기  (0) 2023.03.09

댓글